본문 바로가기
틈새정보

[정보] 안동 산불 산불 지도 확인 방법

by sukilang 2025. 3. 26.

의외로 자세한 정보가 나와 있는 산불 지도


안동, 의성을 비롯한 경상북도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뉴스를 볼 때마다 가슴이 먹먹해지고, 피해가 커질까 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경상도 지역에 아는 분들도 계시고, 개인적으로 여행을 다니며 보았던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유적이 많은 곳이라 더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급히 지인들에게 연락을 돌려 안부를 묻기도 했는데, 모두가 불안해하는 상황이라 마음이 무거워지네요. 하루빨리 비가 내려 불길이 잡히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산 모습

실시간 산불 상황 확인하기

뉴스를 보다가 현재 산불의 진행 상태에 대해서 자세히 보고 싶었습니다. 뉴스에서 보여주는 지도는 전체적인 지도로 보이지 않고 부분적으로 상세히 보다 보니 전국에 어디에 발생되었는지 궁금하였습니다. 혹시 주변에 아시는 분이 있거나 위치에 대해서 궁금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도를 사용하면 거기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구글 지도

작년에 미국 LA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했을 때, 지인이 미국에 갈 예정이라 걱정되어 위치를 찾아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처음 알게 된 것이 구글 지도에서 산불 발생 지역을 꽤 상세하게 실시간으로 보여준다는 점이었어요.

구글지도 캡쳐본
구글 지도

이번에도 구글 지도를 열어보니, 현재 국내에서 발생한 산불도 표시되고 있었습니다. 구글 지도에서는 산불이 난 지역을 빨간색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반투명 컬러로 현재 산불의 범위를 보여줍니다. 또, 왼쪽 사이드바에서 산불 발생 시간과 마지막 업데이트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비교적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구글지도 캡쳐본
구글지도

네이버 지도

네이버 지도에도 기본적으로 표시가 됩니다. 구글 지도와 비슷한 기능 구현으로 아이콘을 클릭하면 현재 산불 범위를 설명하고 있고 재난 경보에 대해서도 상세히 표시가 됩니다. 

네이버지도 캡쳐본
네이버 지도
네이버 지도 캡쳐본
네이버 지도

특이한 것은 아이콘 클릭 시 레이어 팝업창이 노출되어 현재 재난 정보에 대해서 팝업창으로 알려줍니다. 다만 팝업창의 위치가 상단에 위치해 있어 보고 내려와야 하는 불편함이 좀 있습니다.

네이버 지도 캡쳐본
네이버 지도

카카오 지도

반면, 카카오 지도에서는 산불과 관련된 표시를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여러 번 검색해 보았지만 별다른 화재 관련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어요. 앞으로 자연재해가 빈번해지는 만큼, 카카오 지도에서도 이런 정보가 제공되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산불예방

산불은 대부분 사람의 실수로 발생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스스로 조심하고, 작은 실천을 통해 막을 수 있습니다.

  • 산에서는 절대 담배를 피우지 않기
  • 캠핑 및 등산 시 인화성 물질 관리 철저히 하기
  • 산에서 쓰레기 태우지 않기
  • 건조한 날씨에는 화기 사용 자체를 삼가기
  • 산불 발견 즉시 119 또는 지자체에 신고하기

이런 작은 노력들이 모이면 큰 재앙을 막을 수 있습니다. 산불은 한 번 발생하면 진화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복구하는 데는 수십 년이 걸리기도 합니다. 한순간의 실수로 소중한 자연과 삶의 터전을 잃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번 산불을 보니 정말 너무 많이 피해를 발생시키고 자연의 사건은 인간의 힘이 정말 보잘것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무섭게 퍼지는 산불에 대해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봐야 하는 심정이 현장에 계시는 분들에게는 얼마나 마음 아프고 힘드실지 염려됩니다. 모쪼록 더 이상의 피해가 없이 빨리 진화되고 비가 많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이번처럼 비를 간절히 바라고 비가 충분히 오기를 바라기는 처음인 듯합니다. 

산불의 예방은 조심 또 조심입니다. 산에서 당연히 담배 안피우셔야 하고 인화성 물질에 대한 발화는 절대 하면 안 됩니다. 동시에 산에서 쓰레기 태우는 것은 금물입니다. 더 이상 이런 큰 산불이 안 났으면 합니다. 소방대원과 진화대원 분들은 모쪼록 몸조심하시고 산불 인근 주민들의 피해는 더 이상 없었으면 해요.

'틈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각 세대별 실손 보험의 특징  (5) 2025.04.02
[장소] 시청역 스마트도서관  (7) 2025.03.29
[기타] 싱크홀의 원인  (2) 2025.03.25
[기타] 알파세대, MZ세대  (6) 2025.03.24
[기타] 치즈의 종류  (6) 202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