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틈새정보

[정보] 청년들의 발판 청년안심주택

by sukilang 2025. 4. 14.

서울시 청년안심주택으로 안정적인 주거공간확보


집 실내 사진

요즘 역세권 근처에 보면 꽤 잘 지어지는 건물들이 보입니다. 몇 년 전 삼각지역 근처에서 공사하는 것을 봤는데 그때 그 건물이 청년주택이라고 하더군요. 당시에는 뭐 저기에 과연 사람들이 많이 들어올까 했는데 그 건물이 지어지고 입주하고 나니 지역의 상권이 살아나면서 유동인구가 달라졌습니다. 청년들이 많아지니 소비하는 브랜드도 청년들이 소비하는 브랜드로 다 바뀌더라고요. 

아파트 외관

장점

그리고 입주한 친구말이 역세권에 있다보니 출퇴근 편하고 보증금과 월세가 싸서 청년들에게는 정말 좋다고 합니다. 실제로 같이 일하는 친구는 몇 년 전에 들어가서 주택에 들어가는 금액을 많이 세이브하면서 독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더라고요.  청년안심주택의 목적은 통학 및 출근이 용이한 역세권 및 간선도로변에 청년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라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실제로 역세권에 있고 역과 가까운 장소에 있는 것이 최대의 장점입니다.

주택

물론 그러다보니 넓은 공간을 제공하지는 못합니다. 다만 청년들이 원룸, 오피스텔에 사는 것보다는 더 나은 환경과 더 낮은 임대료로 더 좋은 생활을 할 수 있죠.  게다가 더 큰 장점은 임대보증금을 무이자로 지원해 줍니다.

혜택

주변 시세의 30~85% 가격으로 공급하고 임대보증금의 50%,  최대 4,500만 원까지 무이자로 임대보증금을 지원해 줍니다. 정말 파격적이죠. 입주대상은 만 19~39세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와 무주택자입니다.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한번 지원해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거주기간은 2년, 재계약 4회 가능하고 최장 10년 거주가 가능합니다. 그 기간 동안 시드머니 모아서 경제력을 키우기에 좋습니다. 

주택

신혼부부의 경우

일반 신혼부부, 예비신혼부부뿐 아니라 신생아가구, 한부모 가족,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한부모 가족이나 혼인가구가 입주대상이고 신혼 부분의 경우 혼인 7년 이내의 사람이니 혼인했다고 기회가 없는 것이 아니고 7년 이내는 자격이 되니 해당 부분에 대해 확인 후 지원하면 됩니다. 

빌딩

신청 방법

입주자 모집공고 -> 청약신청 접수 -> 서류심사 대상자 발표 -> 대상자 서류제출 소득 및 자산조회 -> 소득자산 소명 -> 당첨자 발표 후 계약 체결

의 과정으로 진행되니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홈페이지에서 상세 공고 확인하고 관심 있는 지역에 일단 청약신청을 접수해보면 좋겠습니다. 서울시외의 다른 지자체들도 청년들에 대한 지원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어요. 대부분의 청년들이 이런 지원을 서로 공유하기도 하니 정보를 보고 하나씩 도전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soco.seoul.go.kr/youth/main/main.do

 

청년안심주택

서울시 청년, 신혼부부를 위해 역세권 및 간선도로변에 주변시세대비 저렴한 임대주택을 공급합니다

soco.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