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틈새정보/투자

[투자] 투자자들이 원하는 궁극적 수익률! 텐베거!

by sukilang 2025. 3. 1.

'돈을 잃지 않는' 투자의 성지! 텐베거


싱글파이어, 퀀트 투자, 배당으로 연금 만들기 등 퇴직자든 20대, 30대 청년세대이던 살아가는 데 빠듯한 요즘에는 다들 본업 외에 이른바 몇 개의 파이브라인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주식 이겠죠?

이번 주 주식장은 정말 파란 비가 폭우로 쏟아지는 장이었습니다. 그냥 눈물을 머금고 담그거나 손절을 해야 하는 주간이었죠. 과연 수익을 얼마나 내어야 정말 즐거울까. 사실 10%만 수익이 나도 그냥 빨간색이면 좋습니다. 

네이버 증권
네이버증권
2025

텐베거(ten-bagger)는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매수가의 10배가 된 종목을 뜻합니다. 10배 수익률, 대박종목을 의미하며, 투자자들이 원하는 수익률을 뜻합니다. 
텐베거라는 용어는 미국의 전설적인 펀드매니저 피터 린치가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 1루타라고 하면 100% 상승, 2루 타라고 하면 200% 상승 이런 식으로 쓰는데, 이런 용법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10배라는 건데 만일 3천원 짜리면 30,000원이 되고 30,000원이면 300,000 만원이 된다는 겁니다. 사실 단순히 생각하면 이렇게 되지만 주식은 복리이니 배수로 생각하다 보면 저 10배가 더 높다는 말이죠. 정말 꿈만 같네요. 그렇다면 텐베거를 달성할 수 있는 종목은 무엇일까요?

미래의 가치. 피지컬AI


AI

작년부터 조선, 방산, 원자력이 국내장에서 포커스 되고 있으며 미래 먹거리로는 피지컬 AI를 얘기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딥시크를 개발하고 기존에 있던 ChatGPT의 빅데이터가 나날이 무섭게 발달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이제 ChatGPT가 4.5 버전을 며칠전에 기습적으로 발표했습니다. 5.0 버전전에 예고 방식이 아닐까 싶어요. 

로봇여행

피지컬AI를 얘기하다 보면 로봇, 양자, AI가 거론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중에서는 로봇이 눈에 보입니다. 로봇은 생각보다 이미 우리의 실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어요. 특히 새로운 제품에 빠르게 적응하는 우리국민성에는 이 로봇이 정말 잘 맞는 다고 생각해요. 가깝게는 애슐리 퀸즈 갔을 때도 벨로 로봇을 부르면 로봇이 다가오고 접시를 고객이 착착 놓습니다. 워낙 빠르게 변하는 것에 익숙하고 셀프가 익숙한 한국인에게는 이 로봇 꽤 편하더라구요. 사람 안불러도 되고 바로 오니 접시 원하는 대로 한번에 놓을 수 있구요. 이처럼 이제는 로봇이 점점 편해집니다. 몇년만 되면 집안일은 곳곳에서 로봇이 수행하지 않을까 싶어요. 이렇듯 로봇이 이제 일상에 들어와 있는 것을 보니 모두 관심은 피지컬AI로 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사이보그

그러면 피지컬 AI의 용어는 무슨 뜻일까요?

피지컬 AI(Physical AI)란 무엇인가? 피지컬 AI는 물리적 세계를 인식하고 이해하며 상호작용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이는 문자나 단어를 이해해 다음 토큰을 예측하는 대형언어모델(LLM)과 이미지 및 비디오 생성 모델을 넘어서는 3차원 모델입니다.

인공지능이군요. 그렇다면 이제 텐베거는 이 인공지능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 집중을 해야 된다는 뜻인 듯합니다. 텐베거에 관련된 글을 보면 결국 미래의 가치가 있는 주식을 오랜 시간 들고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한 번에 10배를 먹는다는 건 그냥 도박이고 도둑 심리지요. 실제로 10배의 가치를 들고 있다는 분을 보면 최소 5년 이상은 들고 계시더군요. 사실 10년은 유지를 해야 되는 것 같아요.

화폐

돈을 잃지 않는 투자의 성지 텐베거가 되려면 잘 보고 잘 견뎌야 한다는 것! 시장의 출렁거림에 흔들리지 말아야겠습니다.